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gradle 배포
- 톰캣 실행 에러
- mariadb migration
- migration 작업순서
- 톰캣 독립실행
- aws ec2 window
- ExecuteUpdate()
- 프로그래머스 #코딩테스트 #입문 #lv.0 #나머지구하기
- oracle commit
- mysql migration
- wargame bandit7
- AWS회원가입
- Thymeleaf 오류#Thymeleaf Exception processing template ""
- 개발자 면접 질문
- linux'|'
- Bandit Level 8 → Level 9
-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
- 마이그레이션 작업순서
- 코딩일기
- SQL vs PL/SQL
- banditlevel8
- aws ec2 putty 연결
- commit 안찍힐 때
- linux uniq -u
- var 와 let의 차이점
- Springboot WebPage 배포
- executeUpdate() commit
- Bandit Level 7 → Level 8
- The JAVA_HOME environment variable is not defined correctly
- linux grep
- Today
- Total
"코딩세끼"
2021 신년다짐 백두대간 도전!! 1장 정보 수집!! 본문
1. 백두대간에 도전 할 시간 만들기.
새해에 뭐 해볼까 무엇을 도전 해볼까 . . 하다가
작년부터 너무 해보고 싶었던 백두대간 종주에 도전하기로 결심했습니다.
지리산에서부터 설악산까지 겨울에는 아래에서 위로, 여름에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여정을 짤 계획입니다.
가장 걱정되는 건 계획해 놓은 시간을 무탈히 지키는 것 !!
주말에 특별한 일 없이 꾸준히 나가는 것이 가장 큰 일 인것 같습니다.
따라서 주말에는 등산을 우선으로 해서 최대한 빠른 시간내 완주 해보는 것으로 목표 삼으려고 합니다.
아마도 자세한 일정이나 계획은 크은~ 굵기는 잡아놓고 자세한 부분들은 그때그때 발생하는 변수들을 반영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.
2. 산림청 정보얻기
우선 저는 구글링부터 시작했습니다. 막연히 입벌리고 맹한 눈으로 구글에 "백두대간"을 검색했더니
산림청의 백두대간이 나왔습니다. 두두등장!!
검색 후 삼림청에서 백두대간의 정식 코스를 알 수 있었습니다.
그 내용을 취합요약 하자면, 이렇습니다.
저의 접근은 큰그림부터 그려 상세그림을 그려나가는 방식으로 큰 산의 흐름부터 시작해서 세세한 코스로 접근했습니다.
2.1 백두대간의 속한 대한민국의 산
저 여섯개의 산이 백두대간에 속해있는 산으로 정해 놓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.
보기에는 6개 밖에 안되는 산인데 실제로 백두대간 종주에 임하려면 어마어마한 체력이 필요합니다.
이제부터 상세 코스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[상세코스] 훑어보기
첫번째, 각 산별로 상세코스 훑어보기!
보시다시피 천왕봉을 시작으로 중고개재를 끝으로 하는 백두대간 지리산 종주 코스입니다.
이부분을 모두 등산을 해야 백두대간 지리산 종주를 했다고 말씀 할 수가 있겠습니다.
그림을 보시면 우측 상부에 '지리산권 지도보기'가 있습니다. 해당 코스를 클릭하면
지도상거리, 실제거리가 나오고 주요볼거리도 나와 똑똑한 분들은 기억해두셨다가 주요볼거리를 보고 오셔도 될 것 같. .이게 똑똑한거랑 상관없이 체력이 되시는 분들 시간이 남는 분들에 해당되겠네요 ㅋㅋㅋ 체력화이팅!!ㅋㅋ
저렇게 상세코스로 볼 수 있고 또 탭에서 구간별 거리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처럼 구간별 거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만 빡쎄겠네요 지리산 종주 코스 ㅠㅠ
그래서 위와 같은 정보들로 거리를 알고 계획하여 하루에 걸을량, 비박을 할지 아니면 산장에서 쉴지를 선택하여 짐을 꾸리면 될 것 같습니다.
근데 일단 지리산부터 무언가 입망치가 들어간 코스부터 조금 눈에 안들어 오는 것 같습니다.
저부분은 제가 좀더 찾아보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
3. 유튜브, 블로그 등 각종 SNS 정보얻기
저는 산림청의 종주 코스를 기준으로 하여 탐색할 계획입니다.
산림청이 이렇게 기준이 되어 주다니 참 좋은 것 같습니다.
등산어플을 다운받아 각종 산들의 등산코스도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.
전자기기도 등산을 위한 전자기기를 하나 구매 해야 할 것 같네요. 이것저것 짐들이 조금씩 늘어가는 것을 예상하며 즐 거운 계획을 짜 보았습니다.
정보 수집의 단계는 이렇게 끝내도록 하겠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지리산 종주 계획을 하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
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
다음에 또 뵙겠습니다.
감사합니다~!!